간만에 키넥트 관련 내용을 다뤄봅니다. 몇주전에 방명록을 통해서 키넥트를 가지고 한글도 인식할 수 있는지를 문의하시는 분이 계셨습니다. 이론상으로는 가능한데 저도 막상 테스트를 해보지 않아서 자세히 알려드리기 힘들었는데 다행히도 영어 인식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직접해보고 알았습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한글을 통해서 키넥트의 tilt 모터를 제어하는 예제를 소개하고자 합니다.우선 내용의 원 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http://kaki104.tistory.com/entry/SpeechRecognition-in-Kinect-for-Windows 주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실 키넥트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언어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영어 엔진을 포함해서 11개의 언어입니다. 그런데 그중에는 한국어에 대한..
이제 30분정도 남은 시점에서 이글을 씁니다.올해는 저한테 너무 큰 기회를 주고 저도 그 기회를 이루려고 많이 노력했었습니다. 분명 새해를 시작할 때는 고민이 많았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남들이 취업하는 동안 졸업을 유예하고 다양한 경험을 해보려 노력을 했었고, 어떻게보면 도박을 했었습니다. 그때문에 숨가쁘게 살고 항상 긴장하면서 살아갔던 것 같습니다. 사실 2012년 제 삶에선 MSP를 빼놓을 수가 없을 듯 합니다. 제가 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많이 작성했던 내용들은 어쩌면 1월에 했었던 키넥트 교육을 듣지 않았더라면 과연 나왔을까요. MSP를 하면서 이런 기회를 얻지 못했다면 제 블로그는 정말로 별볼일 없었을 겁니다. 하지만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끼리 뭉치고 개발을 하면서 정말로 저한테 좋은 기회를..
몇달전에 블로그를 통해서 ArduCAM에 대해서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2012/10/16 - [About Things] - [Device] ArduCAM + Arduino Uno R3 그 게시글에서도 언급한 것이지만 Arducam이란 Arduino를 활용해서 카메라기능을 할 수 있게끔 카메라 모듈을 설치한 형태를 말합니다. 보통 아두이노는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영상작업을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영상처리에 특화된 dsp 센서를 영상작업에 많이 활용하는데 이 ArduCAM은 간단한 사진찍기 정도를 할 수 있게 모듈화 시킨 겁니다. 물론 아두이노로는 단독으로 동작하지 않고 그때 소개드린 것처럼 CPLD라는 칩의 도움을 받습니다. 사실 그 때 사놓고 나서 몇번 테스트..
오늘 모임에서 고등학교 후배가 말해준 덕분에 과거 사진을 잠깐 꺼내봅니다. 7월 중순에 한국 MS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캠프가 진행된 적이 있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 키넥트 부분을 맡아서 1시간동안 진행했었습니다. 개발적인 이야기보다는 키넥트로 현재 어떤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고, 간단한 예제로 키넥트로 즐길 수 있는 게임등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었습니다. 무엇보다도 큰 의미가 있었던 건 제 모교의 후배였다는 겁니다. 저는 과천중앙고등학교를 졸업했었는데 알고보니까 이 친구들이 중앙고에서 GAP이라는 앱동아리에 속해있던 학생들이었습니다. 제가 4회 졸업생인데 지금 학교가 점점 발전하고 많이 변해가는 모습을 보면 뿌듯합니다. 어떻게 보면 그 친구들을 위해서라도 조금더 열심히 하고 학교를 빛..
간만에 예거밤을 먹고 글을 씁니다. 확실히 잠이 안오네요.. 며칠전에 제가 큐비보드나 라즈베리 파이를 구동하는 것에 대해서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눈썰미 좋으신 분들은 아셨겠지만 거의 작업이 거실에서 이루어졌지요. 사실 제 방에서 작업하면 여러모로 좋겠지만 저희집 인터넷 구조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태에서 이제 제 컴퓨터쪽에 큐비보드나 라즈베리를 달기 위해서는 무언가가 필요하겠지요. 이 역할을 해주는 게 바로 크로스 랜케이블입니다. 많은 분들이 랜케이블하면 그냥 공유기와 pc 사이를 연결해주면 자동으로 인터넷이 되기에 랜케이블을 아무거나 써도 되겠지 라는 생각을 가집니다. 그 역할을 하는 건 다이렉트 랜케이블이라고 해서 호스트와 pc 사이를 연결해주는 케이블이고 지금 위와 같은 경우에..
요근래 여유 시간이 생겨서 뭔가를 만들어보자 하고 마음을 먹고 있었는데 연말이라서 그런지 뭘 만들어볼 염두가 생기지 않더군요. 그러다가 문득 눈에 띈게 바로 LED cube를 만들어보자는 것이었습니다. 원래는 동영상처럼 거창한 것이었는데 생각해보니까 단가라던가 제어방식이 도저히 감을 잡을 수 없더군요. 위에 나온건 512개의 LED를 사용한 거였는데 참 보기도 좋고 대단하지요. 도저히 만들 용기가 안생겨서 그냥 조그만한 4x4x4 Cube를 만들어보면 어떨까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돌아다니다 보니까 세트로 파는 게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것만 있으면 그냥 불을 껐다 켰다 정도로만 제어할 수 있고 이외로 동영상 처럼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컨트롤러가 있어야 합니다. 많이 쓰이는게 아두이노인데 누가 ..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번에 구입한 CubieBoard에다가 우분투를 올리는 작업을 해보고자 합니다. 궁금하신 분은 2012/12/14 - [About Things] - [Device] CubieBoard을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성격은 라즈베리파이와 거의 유사합니다. 오히려 성능이 조금 더 좋지요. 자 당연한 것이지만 역시 이건 sd 카드로 부팅합니다. 물론 SATA포트가 달려있긴 한데 초기 부팅은 sd카드에서 이뤄지고 외부 데이터를 hdd에서 불러오는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sd 카드가 필요할 겁니다. 제가 구입한건 삼성 microSD class 10입니다. 요즘은 sd카드도 가격이 많이 싸졌네요. 이걸 어뎁터에 끼운 상태로 pc와 연결합니다. 일단 이 sd카드에 OS를 올리..
최근 요 몇주동안 시간내서 읽었던 책이 바로 이 head first C 입니다. 그런데 제 생각에는 위와 같이 뭔가를 쓸 수 있는 펜이 같이 있어야 될 듯합니다. 정말로 이 책은 무언가를 계속 쓰면서 손코딩을 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사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Head First 시리즈는 O`reilly 사의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북을 모아둔 시리즈입니다. 2003년에 처음으로 나워서 지금까지 계속 시리즈물로 나오고 있지요. 물론 저자가 다 같은건 아닙니다. 분야도 참 많습니다. 지금 소개해드리는 프로그래밍 관련 책들도 있지만 Algebra를 다룬 책도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이 단행본 시리즈가, 그것도 공학이라는 생소한 영역에서 오랫동안 출판할 수 있었던 이유는 책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재미가 아닐..
우연히 찾다가 유용한 라이브러리가 있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보통 이미지 프로세싱을 OpenCV로 많이 하다가 다른 언어로 변환하는 형태를 많이 취하고 있는데요. 그렇게 해서 나온 것중에 JavaCV도 있고 저번에 소개해드린 blob detection도 있습니다. 심지어는 pedestrian detection도 해주는 라이브러리도 있습니다. ( 이부분은 나중에 해보고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그런데 위 사이트는 보니까 Viola-Jone Face Detection을 Processing으로 포팅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참 놀라울 따름입니다.(어떤건지 궁금하신 분은 다음 논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research.microsoft.com/en-us/um/people/viola/pub..
드디어 오늘 시립대에서 진행하던 키넥트를 활용한 동작인식 프로그래밍 수업을 마쳤습니다. 총 30시간정도 한 거 같습니다. 오늘 한 내용은 키넥트에서 제공되는 기능중 음성인식기능을 활용해서 제어하는 것을 다뤘고, Kinect SDK에서 벗어나 Processing으로 키넥트를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했습니다. Kinect seminar 121215v1 from Chan Seok Kang 마지막 멘트는 이렇게 잡았습니다. 사실 키넥트가 일반적인 RGB 카메라만 있었다면 일반 웹캠과 별반 차이가 없었겠지요. 하지만 DepthCam이라는 것이 있기에 키넥트만의 장점을 가지는 거고 그걸로써 세상을 조금더 깊게 볼 수 있는 것이겠지요. 정말로 이 수업을 듣는 분들도 자신이 둘러쌓인 환경을 조금더 깊게 보고 세상을..
ARM 프로세서의 등장은 정말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ARM은 Advanced RISC Machine의 약자인데 기존의 인텔계열의 CPU의 성능을 따라가면서 전력적인 측면에서 장점을 가져옵니다. 사실 Device 내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부분은 cpu나 램같은 핵심적인 영역이 아닌, 배터리와 같은 전력소자입니다. ARM계열 시스템은 이 부분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부피가 감소합니다. 즉, 오늘날 스마트폰의 발전을 가져온 건 이 ARM으로 인한 휴대성 증대가 가장 큰 요인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사실 이런측면은 소형 컴퓨터에서 조금더 두드러지는 듯합니다. 몇달전에 출시했던 라즈베리 파이도 그 크기와 확장성, 특히 가격적인 측면에서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았고, 이를 활용한 ..
KIST에서 진행하던 단기 프로젝트인 입문서 제작을 마쳤습니다. 이렇게 문서화되었고 총 50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마 제가 알기론 C++로 된 교육문서는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찾은 한도 내에서는요. 저도 여기저기 찾다가 제 나름대로 정리한 내용을 담아서 글을 썼습니다.전체적인 글 차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론 이 블로그 내에서 소개된 내용도 있고, 기타적으로 프로젝트 진행시 사용했던 방식에 대한 코드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글의 목적은 키넥트 개발이 생소한 사람이라도 코드를 그대로 치기만 하면 구현할 수 있을 만큼의 수준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설명에 대한 건 거의 배제하고 코드로 진행되어 있습니다. 사실 이 블로그로 조금더 키넥트 개발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문서를 공개하고..
이전에 이런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2012/09/25 - [About OpenCV] - [Kinect with OpenCV] CAMShift 적용 (2) Color Segmentation사실 온라인상에 공개되어 있는 CAMShift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Color 기반의 histogram이 나와야 됩니다. 그래야 사물에 대한 추적을 할 수 있는 것이지요. 하지만 그 글에서도 언급된 것처럼 다음과 같은 이미지가 나오게 됩니다. 이유는 키넥트의 카메라 배치때문입니다. 딱 보면 아시겠지만 Color를 볼수 있는 RGB Cam과 Depth를 볼 수 있는 Depth Cam의 위치가 다릅니다. 즉, 시점이 다르다는 것이지요. 여러대의 웹캠을 활용한 프로젝트에서도 시점이 맞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정해주는 과정을 거치..
예전에 이런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2012/07/28 - [About OpenCV] - [EmguCV] 이해를 할 수 없는 라이브러리, EmguCV 참 그때도 시키는대로 다했는데 왜 안 되는 마음에서 글을 썼습니다. 그런데 마침 조금 시간이 남아서 한번 다시해봤고 이제는 잘 되네요. 참고로 저는 Windows 7 x64에서 테스트했습니다.그때도 설명 드렸다시피 EmguCV는 OpenCV의 C# Wrapper로써 WPF/Winform 상에서도 영상처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툴입니다. 설치는 다음 사이트에서 받으시면 됩니다. 그러면 main 드라이브상에 emgu라는 이름으로 설치가 됩니다.제가 이글을 쓸 때의 emguCV 버전은 v2.4.2.1777이었고, 사실 이부분이 조금 중요합니다. 이 버전앞에..
이번 포스트에서는 XNA상에서 개체를 Grab하고 Release 하는 것을 구현해보고자 합니다. 원본에서는 이걸 Minority Report Navigation이라고 하더군요. 대충 구현 해볼 것은 오른손으로 특정 개체에 닿으면 손의 움직임에 따라서 개체가 움직입니다. 그 상태에서 박수를 치면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가는 형태를 취하게끔 할겁니다. 일단 XNA 프로젝트로 하나 생성하고 키넥트를 쓰기위한 dll 파일과 네임스페이스를 추가해줍니다. 그 후에 키넥트를 활용하기 위해서 키넥트자료형을 하나 생성합니다. 그리고 창 크기를 먼저 지정해줍니다. 저는 640x480의 창에서 동작시킬 예정입니다. 그리고 Initialize()에서 자신이 활용할 키넥트 기능을 활성화시킵니다. 당연한 것이겠지만 오른손을 추적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SketchFlow
- 한빛미디어
- 강화학습
- ColorStream
- Gan
- 파이썬
- Pipeline
- Kinect SDK
- Offline RL
- RL
- PowerPoint
- reward
- Windows Phone 7
- dynamic programming
- Expression Blend 4
- processing
- Kinect for windows
- Kinect
- DepthStream
- 딥러닝
- bias
- Variance
- End-To-End
- TensorFlow Lite
- arduino
- Policy Gradient
- Off-policy
- windows 8
- Distribution
- a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