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같은 경우는 연구실 컴퓨터는 gentoo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노트북에서는 윈도우를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언제나 연구실에만 있을 수 없으니까 뭔가 밖에서도 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찾아보니까 Xming이라는게 있더군요. 이걸 통해서 원격으로 본체에 접속할 수 있다네요. 그래서 하는 방법을 조금 정리해봤습니다.원래 기존에는 PuTTY를 활용해서 SSH(SecureSHell)을 통한 터미널 접속이 되는 거였지만 이 Xming을 사용하면 GUI로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는게 특징입니다. 가령 이런거지요. 우선 sshd를 사용하는 것이기에 원격접속할 컴퓨터에서 설정을 조금 바꿔줘야 합니다. 이 sshd에 대한 설정은 sshd_config에서 할 수 있습니다. 이중에서 중간에 보면 X11Forwar..
간혹 처음 LiveCD를 이용할 때 use flag를 설정을 잘못 설정해서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을 때가 있다.당연히 /etc/portage에 있는 make.conf을 수정해야 하지만 setting이 잘못 된 상태에서 갱신이 안 된다. 아래와 같이 keyword changes가 필요하다고 뜬다. 이때는 emerge 명령어에 --autounmask-write 플래그를 달아주면 된다. 이러면 자동적으로 필요한 use flag가 설정되는 것이다. 이때 update를 해주면 새로 설정된 use flag로 수정된다. 이후에 다시 emerge를 해주면 정상적으로 설치된다. 위의 예제는 xfce4상에서 한글 입력기인 nabi를 설치하는 과정이다.Written in Linux
이번에 소개할 책은 바로 LISP 관련 책입니다. 사실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단지 리스프라는게 뭔지 궁금해서였습니다. 즉, 이전에는 리스프라는게 있다는 사실만 알고 있었던 거지 무엇이고 어디에 쓰인다는 기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위키피디아의 말을 빌려오자면 LISP이라는 말 자체가 LISt Processing의 약자입니다. 그래서 나오는 문법의 대부분이 List와 관련된 형태가 무척 많습니다. 그런 만큼 수학적 형태를 표현한 경우가 많고, 알고리즘 및 자료 구조 분야에서 쓰이는 언어입니다. 하지만 쓰이는 구조나 문법이 일반 프로그래밍을 다루던 사람에게는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그렇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언어 자체가 기능보다는 구조를 표현하는데 ..
참 힘드네요. Native로 올리면 하드웨어 이름이 명확해서 좋은데 이렇게 VM 상에다 올리니까 참... 하나하나씩 다 찾아줘야 하네요.. 아무튼 Gentoo Linux 상에 X Window를 올린 후 그 위에 다시 xfce4 DE를 올렸습니다. 비로소 윈도우와 같은 GUI 기반의 OS를 다룰 수 있게 된 겁니다. Gentoo는 emerge 명령어만 잘 써주면 왠만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깔아주니까 좋은거 같네요.
보통 이때쯤이면 축구 중계를 보고 있는데요. 갑자기 화면의 색 구성이 달라졌습니다. 평소에는 에어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기에 투명하게 보여야 할 메뉴 탭이 불투명하게 변해있습니다. 이 현상은 보통 윈도우 내에서 성능테스트시 나타나는 화면인데요. 아마 윈도우 7을 쓰시는 다른 분들도 일요일 오전 1시만 되면 이런 현상이 발생할 겁니다. 이는 이 성능 테스트를 일요일 1시마다 수행하도록 예약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걸 자주 해줄 필요가 없는 거지요. 그래서 그걸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먼저 제어판의 관리도구를 들어갑니다. 그 안에 작업 스케쥴러라는 아이콘이 있는데요. 바로 여기서 아까와 같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작업을 지정해줄 수 있는거지요. 지금 이 성..
랩에 갔다오니까 이상한 해외우편이 와 있습니다. 벨기에에서 왔네요. 내용물이 뭔가해서 봤더니. 바로 이 msdn Magazine 입니다. msdn Magazine은 MS 직원이나 MVP들이 MS 제품군에 대한 기술 지식을 칼럼 형식으로 적는 잡지입니다. 요즘 MS에서 주력으로 밀고 있는 서비스가 바로 Windows 8 과 Windows Phone 8 이기에 이와 관련된 예제들이 연재 형식으로 담겨있습니다. 안에 들어있는 내용중 하나인 음성 인식 기능예제를 소개한 란입니다.그런데 아직까지 이게 왜 저한테 온건지 모르겠네요. 사실 msdn subscription 을 가진 사람에 한해서는 이 잡지를 디지털판으로 구독할 수 있는 권한이 생깁니다. 참고로 지난 포스트에서 잠깐 언급했던 subscription 혜택..
-fstab을 수정해서 file system 정렬 - 앞에서 fdisk를 통해 나눈 대로 설정 - 네트워크의 호스트 이름 지정 - 현재 네트워크의 상태 확인 (vmware에서는 dhcp 방식이 아니라 ip가 또 설정되는 형식이기에 이걸로 확인) - 아까 안 정보를 네트워크로 설정함 - 네트워크 설정이 완료되었으므로 다음 부팅시 네트워크가 자동으로 형성되도록 설정 이외는 이제 개인 취향대로 설치. 보통 행해지는 건 시스템 설정 및 필요한 설정을 초기에 뜰 수 있도록 설정 문서 수정하는 과정이 대부분임.
- nano 편집기를 활용해서 configure 파일 수정 - make.conf 파일 : 현재 VM에 인식되는 CPU는 intel i7 이므로 march=core2. AMD 계열은 k8으로 작성해야 함.core 갯수를 2개로 지정했으므로 MAKEOPTS는 -j3 - 종료후 인터넷 연결 해제에 대비한 mirror를 지정해줌 - 잘 찾아보면 kaist 서버가 있음 - 역시 rsync에 대한 mirror도 지정 역시 한국 서버 존재 - 지금 가지고 있는 DNS 정보를 옮길 곳에 미리 복사함. - 필요한 파일 시스템을 mount 시킴 - 새로운 환경 적용 및 root를 변경함 - chroot 상에서 portage를 usr/portage에 풀어버림 -설치시 적용할 profile 지정 - 앞에서 만든 make.co..
기반 : install-amd64-minimal-20121210.iso on VMWare workstation 8 - 초기 iso를 활용한 부팅 - password 지정 - ping test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 확인 : 직접적으로 공유기와 연결시에는 DHCP가 형성되어 자동으로 ip가 분배됨. 그외의 경우(여기서는 vmware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일 경우에는 net-setup을 통해서 설정해야 됨. 연결은 되어 있음. - net-setup을 통한 네트워크 설정 - fdisk 를 통한 파티션 분할 - sda1 : boot - sda2 : swap disk - sda3 : root disk - 종료후 각 디스크에 대한 포멧을 정함 sda1은 ext2 포멧으로 변경 - sda3는 ext3 포멧으로 변경 - ..
이번 시간은 Recitation으로 조교가 간단한 python의 문법 및 variable에 관해서 설명합니다.한가지 중요한 사항만 언급하자면 첫번째로 나오는게 interpreter와 compiler의 차이입니다. 네이버에도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를 검색해보면 정리가 잘되어 있습니다.간단하게 말하자면 컴파일러는 통째로 코드를 읽고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언어로 바꿔주는 통역기입니다. 사실 우리가 제일 많이 다루는 C/C++ 계열도 우리가 읽기 쉽게 문법화가 되어있는거지 실제로 컴퓨터가 그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통역기가 필요하겠지요. 그게 컴파일러고요. 여러분들도 VS상에서 디버깅 버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코드에 대해서 문법 검증 및 빌드가 모두 이뤄집니다. 그래서 그러고 나서 실행 파일이 실행되는 ..
넥서스 10을 샀으니까 이제 거기에 알맞는 주변 기기를 하나씩 사고 있습니다. 물론 다른 것들도 샀지만 집에 먼저 도착한게 바로 이 pogo cable입니다. 그런데 흔히 보는 usb형 충전 방식이 아닙니다. 저 앞의 뭉뚝한 부분이 바로 충전 부분입니다. 구성품은 케이블과 설명서가 전부이고 간단한 특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 장점은 충전이 기존의 usb 방식에 비해서 25%이상 향상되고, 충전하면서 otg와 같은 기능을 계속 쓸 수 있다는 거지요. 그리고 연결 해제시 발생할 수 있는 연결부 파손이 덜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일 수 있겠네요. 실제로 연결부에 자석이 달려있어서 본체의 충전부에 갖다대면 자성에 의해서 붙습니다. 여기서도 이게 한국에서 만들어졌다는게 언급되네요. 악세사리도 만들어지고 있..
제 컴퓨터에는 하드디스크가 조금 많이 붙어 있습니다. 계산해보니까 약 4.6tb정도의 용량이네요. 즉, 메인보드에서 제공하는 6개의 SATA 포트 중 하나만 남기고 다 쓰고 있습니다. 워낙에 영화보는거 좋아하고 잘 본건 보관하다 보니까 하드 상태가 이모양입니다. 거기다가 몇몇 하드는 조금씩 맛이 가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바꿔줄 생각을 하다가 중고 물량으로 들어온게 있어서 구입했습니다. 제가 그동안 캐비어 그린과 블루는 써봤는데 이 블랙 계열은 처음이네요. 아무튼 이 블랙 계열의 큰 장점이라면 역시 AS 기간이지요. WD 하드의 AS 조회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보증 및 RMA 서비스로 들어가면 사용자 선택을 하는데 여기서 최종 소비자를 선택한 후 보증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러고 나서 뜨..
간만에 Unity3D를 다뤄볼 수 있는 책이 있어서 하루 여유를 두고 따라해봤습니다. 책의 제목은 만들면서 배우는 Unity3D인데.. 정말 책 제목에 딱 어울리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책안의 내용이 거의 전부가 Unity3D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내용들을 한번씩 다뤄보는 예제들로 구성이 되어 있고, 최종적으로는 1인칭 슈팅 게임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아래 샘플이 최종 결과물입니다. 그런데 사실... 너무 쉽습니다. 물론 책 두께가 300페이지가 안되는 작은 책이기도 하고, 안에 보면 기초 지식에 대한 설명이 약간 부족합니다. 정말 정말 딱 책 제목처럼 만들면서 배우는데에만 치중한 책이 아닐까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저야 Unity3D를 야매(?)로 배워서 제대로 알지는 못했지만..
전에도 이야기 했었지만 저는 작년에 Microsoft Student Partner 라는 활동을 했었습니다.사실 MSP가 되면 받을 수 있는 가장 큰 혜택중에 MSDN subscription을 제공한다는 겁니다. 그것도 최상위 제품군으로 받습니다.저는 올해 갱신 신분이 되어서 이렇게 왔습니다. 제가 아는 subscription 획득 방법은 3가지인데 첫번째는 Microsoft 직원이 되는 겁니다. 이건 조금 힘들 듯하고...그리고 기술직에 종사하는 분이 얻는 방법으로는 MVP가 되는 겁니다. MVP가 되면 1년동안 MSDN 또는 TechNet Plus 계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마 일반인들이 도전해 볼 수 있는 유일한 기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궁금하신 분은 http://krmvp.co.kr 으로 가시면..
이전에 이런 글을 쓴 적이 있었습니다.2012/11/30 - [About Things] - [Device] Nexus 10! 이게 올까요. 안올까요. 그때도 말했다시피 배송되는 것에 조금 의문을 가지고 지켜봤는데... 결국 취소가 되었습니다. 다시한번 느끼는 거지만 중국사이트는 전자부품같은 조그만한 것 살때만 애용해야 할 듯 합니다. 덕분에 기다리는 동안 환율이 확 떨어져서 손해도 보고 그랬네요. 그래도 어떻게 돌아다니다 보니 하나 구했습니다. 구성품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아주 단촐하게 딱 usb선과 충전기, 설명서가 전부입니다. 재미있는게 여기 들어있는 모든게 다 한국에서 만들어진 겁니다. 심지어는 설명서도 한국에서 인쇄된 겁니다.도대체 구글(혹은 삼성)은 왜.. 한국에서는 안 파는 걸까요? 이로써..
- Total
- Today
- Yesterday
- Windows Phone 7
- Kinect for windows
- TensorFlow Lite
- dynamic programming
- ColorStream
- Distribution
- processing
- reward
- Offline RL
- Gan
- 딥러닝
- 파이썬
- Variance
- DepthStream
- Pipeline
- arduino
- ai
- Off-policy
- Policy Gradient
- bias
- PowerPoint
- End-To-End
- Kinect SDK
- RL
- Kinect
- windows 8
- SketchFlow
- Expression Blend 4
- 강화학습
- 한빛미디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