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자신에 대한 고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자신에 대한 고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094)
    • Me (67)
    • Things (69)
    • Study (437)
      • SW (2)
      • Linux (36)
      • OS (49)
      • Circuit (6)
      • Architecture (36)
      • Compiler (23)
      • EmbeddedSystem (30)
      • Network (8)
      • AI (180)
      • Algorithm (4)
      • comm (4)
      • Work (6)
      • MOOC (44)
    • PC (24)
    • Arduino (36)
    • RPi (15)
    • Office (30)
    • Kinect (75)
    • OpenCV (42)
    • WindowsPhone (40)
    • Windows 8 (37)
    • Processing (25)
    • Expression (37)
      • SketchFlow (18)
    • Hobby (159)
      • Guitar (9)
      • Game (13)
      • Book (115)
      • Code (16)
  • 방명록

[Device] Western Digital WD1002FAEX

제 컴퓨터에는 하드디스크가 조금 많이 붙어 있습니다. 계산해보니까 약 4.6tb정도의 용량이네요. 즉, 메인보드에서 제공하는 6개의 SATA 포트 중 하나만 남기고 다 쓰고 있습니다. 워낙에 영화보는거 좋아하고 잘 본건 보관하다 보니까 하드 상태가 이모양입니다. 거기다가 몇몇 하드는 조금씩 맛이 가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바꿔줄 생각을 하다가 중고 물량으로 들어온게 있어서 구입했습니다. 제가 그동안 캐비어 그린과 블루는 써봤는데 이 블랙 계열은 처음이네요. 아무튼 이 블랙 계열의 큰 장점이라면 역시 AS 기간이지요. WD 하드의 AS 조회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보증 및 RMA 서비스로 들어가면 사용자 선택을 하는데 여기서 최종 소비자를 선택한 후 보증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러고 나서 뜨..

Things 2013. 1. 6. 19:07
[Book] 만들면서 배우는 Unity3D Game Programming

간만에 Unity3D를 다뤄볼 수 있는 책이 있어서 하루 여유를 두고 따라해봤습니다. 책의 제목은 만들면서 배우는 Unity3D인데.. 정말 책 제목에 딱 어울리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책안의 내용이 거의 전부가 Unity3D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내용들을 한번씩 다뤄보는 예제들로 구성이 되어 있고, 최종적으로는 1인칭 슈팅 게임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아래 샘플이 최종 결과물입니다. 그런데 사실... 너무 쉽습니다. 물론 책 두께가 300페이지가 안되는 작은 책이기도 하고, 안에 보면 기초 지식에 대한 설명이 약간 부족합니다. 정말 정말 딱 책 제목처럼 만들면서 배우는데에만 치중한 책이 아닐까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저야 Unity3D를 야매(?)로 배워서 제대로 알지는 못했지만..

Hobby/Book 2013. 1. 5. 00:54
[Things] Microsoft Visual Studio Ultimate with MSDN

전에도 이야기 했었지만 저는 작년에 Microsoft Student Partner 라는 활동을 했었습니다.사실 MSP가 되면 받을 수 있는 가장 큰 혜택중에 MSDN subscription을 제공한다는 겁니다. 그것도 최상위 제품군으로 받습니다.저는 올해 갱신 신분이 되어서 이렇게 왔습니다. 제가 아는 subscription 획득 방법은 3가지인데 첫번째는 Microsoft 직원이 되는 겁니다. 이건 조금 힘들 듯하고...그리고 기술직에 종사하는 분이 얻는 방법으로는 MVP가 되는 겁니다. MVP가 되면 1년동안 MSDN 또는 TechNet Plus 계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마 일반인들이 도전해 볼 수 있는 유일한 기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궁금하신 분은 http://krmvp.co.kr 으로 가시면..

Things 2013. 1. 4. 19:35
[Device] Nexus 10

이전에 이런 글을 쓴 적이 있었습니다.2012/11/30 - [About Things] - [Device] Nexus 10! 이게 올까요. 안올까요. 그때도 말했다시피 배송되는 것에 조금 의문을 가지고 지켜봤는데... 결국 취소가 되었습니다. 다시한번 느끼는 거지만 중국사이트는 전자부품같은 조그만한 것 살때만 애용해야 할 듯 합니다. 덕분에 기다리는 동안 환율이 확 떨어져서 손해도 보고 그랬네요. 그래도 어떻게 돌아다니다 보니 하나 구했습니다. 구성품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아주 단촐하게 딱 usb선과 충전기, 설명서가 전부입니다. 재미있는게 여기 들어있는 모든게 다 한국에서 만들어진 겁니다. 심지어는 설명서도 한국에서 인쇄된 겁니다.도대체 구글(혹은 삼성)은 왜.. 한국에서는 안 파는 걸까요? 이로써..

Things 2013. 1. 2. 19:14
[Kinect 프로젝트] Kinect를 활용한 한글 인식

간만에 키넥트 관련 내용을 다뤄봅니다. 몇주전에 방명록을 통해서 키넥트를 가지고 한글도 인식할 수 있는지를 문의하시는 분이 계셨습니다. 이론상으로는 가능한데 저도 막상 테스트를 해보지 않아서 자세히 알려드리기 힘들었는데 다행히도 영어 인식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직접해보고 알았습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한글을 통해서 키넥트의 tilt 모터를 제어하는 예제를 소개하고자 합니다.우선 내용의 원 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http://kaki104.tistory.com/entry/SpeechRecognition-in-Kinect-for-Windows 주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실 키넥트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언어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영어 엔진을 포함해서 11개의 언어입니다. 그런데 그중에는 한국어에 대한..

Kinect 2013. 1. 1. 21:25
[20121231] 2012년을 마무리하며..

이제 30분정도 남은 시점에서 이글을 씁니다.올해는 저한테 너무 큰 기회를 주고 저도 그 기회를 이루려고 많이 노력했었습니다. 분명 새해를 시작할 때는 고민이 많았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남들이 취업하는 동안 졸업을 유예하고 다양한 경험을 해보려 노력을 했었고, 어떻게보면 도박을 했었습니다. 그때문에 숨가쁘게 살고 항상 긴장하면서 살아갔던 것 같습니다. 사실 2012년 제 삶에선 MSP를 빼놓을 수가 없을 듯 합니다. 제가 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많이 작성했던 내용들은 어쩌면 1월에 했었던 키넥트 교육을 듣지 않았더라면 과연 나왔을까요. MSP를 하면서 이런 기회를 얻지 못했다면 제 블로그는 정말로 별볼일 없었을 겁니다. 하지만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끼리 뭉치고 개발을 하면서 정말로 저한테 좋은 기회를..

Me 2013. 1. 1. 00:47
[Arduino] ArduCAM

몇달전에 블로그를 통해서 ArduCAM에 대해서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2012/10/16 - [About Things] - [Device] ArduCAM + Arduino Uno R3 그 게시글에서도 언급한 것이지만 Arducam이란 Arduino를 활용해서 카메라기능을 할 수 있게끔 카메라 모듈을 설치한 형태를 말합니다. 보통 아두이노는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영상작업을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영상처리에 특화된 dsp 센서를 영상작업에 많이 활용하는데 이 ArduCAM은 간단한 사진찍기 정도를 할 수 있게 모듈화 시킨 겁니다. 물론 아두이노로는 단독으로 동작하지 않고 그때 소개드린 것처럼 CPLD라는 칩의 도움을 받습니다. 사실 그 때 사놓고 나서 몇번 테스트..

Arduino 2012. 12. 31. 01:28
[120725] 7월 중고등학생 대상 APP Camp

오늘 모임에서 고등학교 후배가 말해준 덕분에 과거 사진을 잠깐 꺼내봅니다. 7월 중순에 한국 MS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캠프가 진행된 적이 있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 키넥트 부분을 맡아서 1시간동안 진행했었습니다. 개발적인 이야기보다는 키넥트로 현재 어떤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고, 간단한 예제로 키넥트로 즐길 수 있는 게임등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었습니다. 무엇보다도 큰 의미가 있었던 건 제 모교의 후배였다는 겁니다. 저는 과천중앙고등학교를 졸업했었는데 알고보니까 이 친구들이 중앙고에서 GAP이라는 앱동아리에 속해있던 학생들이었습니다. 제가 4회 졸업생인데 지금 학교가 점점 발전하고 많이 변해가는 모습을 보면 뿌듯합니다. 어떻게 보면 그 친구들을 위해서라도 조금더 열심히 하고 학교를 빛..

Me 2012. 12. 30. 01:47
[Tip] 크로스 랜케이블을 활용한 인터넷 공유

간만에 예거밤을 먹고 글을 씁니다. 확실히 잠이 안오네요.. 며칠전에 제가 큐비보드나 라즈베리 파이를 구동하는 것에 대해서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눈썰미 좋으신 분들은 아셨겠지만 거의 작업이 거실에서 이루어졌지요. 사실 제 방에서 작업하면 여러모로 좋겠지만 저희집 인터넷 구조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태에서 이제 제 컴퓨터쪽에 큐비보드나 라즈베리를 달기 위해서는 무언가가 필요하겠지요. 이 역할을 해주는 게 바로 크로스 랜케이블입니다. 많은 분들이 랜케이블하면 그냥 공유기와 pc 사이를 연결해주면 자동으로 인터넷이 되기에 랜케이블을 아무거나 써도 되겠지 라는 생각을 가집니다. 그 역할을 하는 건 다이렉트 랜케이블이라고 해서 호스트와 pc 사이를 연결해주는 케이블이고 지금 위와 같은 경우에..

PC 2012. 12. 28. 02:23
[Arduino] 4x4x4 LED Cube with Rainbowduino

요근래 여유 시간이 생겨서 뭔가를 만들어보자 하고 마음을 먹고 있었는데 연말이라서 그런지 뭘 만들어볼 염두가 생기지 않더군요. 그러다가 문득 눈에 띈게 바로 LED cube를 만들어보자는 것이었습니다. 원래는 동영상처럼 거창한 것이었는데 생각해보니까 단가라던가 제어방식이 도저히 감을 잡을 수 없더군요. 위에 나온건 512개의 LED를 사용한 거였는데 참 보기도 좋고 대단하지요. 도저히 만들 용기가 안생겨서 그냥 조그만한 4x4x4 Cube를 만들어보면 어떨까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돌아다니다 보니까 세트로 파는 게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것만 있으면 그냥 불을 껐다 켰다 정도로만 제어할 수 있고 이외로 동영상 처럼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컨트롤러가 있어야 합니다. 많이 쓰이는게 아두이노인데 누가 ..

Arduino 2012. 12. 25. 19:25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 110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2015년은 조금더 열심히 해보려고 합니다.
  • [2014.04.10] 드리는 말씀
  • [Notice] 블로그에 오신 분들께 드리는 ⋯
  • [Public] Profile - update⋯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chans_jupyter
TAG
  • Policy Gradient
  • dynamic programming
  • arduino
  • 딥러닝
  • DepthStream
  • Distribution
  • windows 8
  • bias
  • processing
  • ColorStream
  • Off-policy
  • SketchFlow
  • RL
  • Pipeline
  • 파이썬
  • Kinect for windows
  • 강화학습
  • Windows Phone 7
  • 인공지능
  • Kinect SDK
  • PowerPoint
  • TensorFlow Lite
  • Gan
  • Variance
  • Offline RL
  • reward
  • 한빛미디어
  • End-To-End
  • Kinect
  • Expression Blend 4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