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자신에 대한 고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자신에 대한 고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094)
    • Me (67)
    • Things (69)
    • Study (437)
      • SW (2)
      • Linux (36)
      • OS (49)
      • Circuit (6)
      • Architecture (36)
      • Compiler (23)
      • EmbeddedSystem (30)
      • Network (8)
      • AI (180)
      • Algorithm (4)
      • comm (4)
      • Work (6)
      • MOOC (44)
    • PC (24)
    • Arduino (36)
    • RPi (15)
    • Office (30)
    • Kinect (75)
    • OpenCV (42)
    • WindowsPhone (40)
    • Windows 8 (37)
    • Processing (25)
    • Expression (37)
      • SketchFlow (18)
    • Hobby (159)
      • Guitar (9)
      • Game (13)
      • Book (115)
      • Code (16)
  • 방명록

[Device] Buffalo LS-WVL

Buffalo LinkStation Duo Pro 들어가 있는 모델은 시게이트 바라쿠다 12세대 1TB 두개. 라벨이 붙어있는 경우에만 보증이 됨. 특이하게도 하드 하나만 고장나도 나머지 하드도 교체 사유에 해당됨.

Things 2013. 1. 26. 23:46
[Device] Leto DiskClone

이번에 새로 가져온 제품은 Leto 사의 DiskClone이라는 제품입니다. 이게 하는 역할은 보통 두개의 하드를 외장 드라이브로 연결해주는 일종의 도킹스테이션입니다. hot Swap을 지원하기 때문에 그냥 쓰고 싶을 때 하드를 그냥 꽂으면 됩니다. 전송방식은 USB 2.0과 eSATA 방식을 지원하는데.. 제 메인보드에 eSATA를 지원하지 않는 걸 생각하지 않았네요.. 사실 eSATA를 지원하게 되면 내부에서 SATA2를 사용하는 속도와 동일하게 3Gbps 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반면 USB 2.0 규격을 사용하게 되면 480Mbps의 속도로 전송되기 때문에 조금 느리지요. 일반적으로 usb에서 데이터 옮기는 속도를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메인보드를 교체하지 않는 한 당분간은 usb 2...

Things 2013. 1. 26. 22:44
[Book] Programming Windows Six Edition by Charles Petzold

작년 7월쯤에 찰스 페졸드씨가 윈도우 8에 대한 책인 Programming Windows 6th edition을 출간한다는 이야기와 함께 싼 가격에 예약 판매를 진행한다는 공고가 올라왔었습니다. 그때 10불이었는데.. 한창 윈도우 8에 대한 개발 공부를 하는 입장에서는 좋은 기회가 될거라 생각하고 질렀었지요. 그와중에 윈도우 8의 버전이 Developer Preview, Consumer Preview , Release Preview 를 거쳐서 드디어 RTM 버전까지 거치게 되었고, 이 책도 최종 출간이 늦어졌었습니다. 언제 출간될까 생각나는 즈음에 정식 버전이 출간되었습니다. 그런데 늘어난 책 장 수가 생각외로 많이 늘어났습니다. 원래 RP 버전 책이 550여장이었던데 비해서 이번에 출간된 책은 무려 1..

Hobby/Book 2013. 1. 26. 00:43
[OS] Mint64OS 17절 Task handling

OS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task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task는 그냥 하나의 작업 단위라고 보면 될거 같고 각각의 state와 관장 영역이 있다. 가까이에선 Task Manager를 살펴보면 된다. 보면 각 task마다 각각 cpu와 ram resource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터미널 하나를 죽여도 다른 상태는 별 영향이 없다. 이렇듯 테스크를 다루는 프로세서의 상태는 제각각 다르다. 이전에 잠깐 나왔던 context의 개념이 바로 그렇다. 이 context만 유지된다면 여러 task가 수행되어도 다 개별적으로 이뤄진다는 것이다. 다르게 생각해보면 이 테스크를 공유할 수 있게 하면 하나의 task에서 또다른 context를 만들 필요가 없다는 점이 있다. 여기서 멀티테스킹..

Study/OS 2013. 1. 25. 20:41
[OS] Mint64OS 16절 PIT / RTC 설정

프로세서는 1초에 정말 많은 량의 instruction을 처리하고, 보통 컴퓨터의 성능을 측정할 때는 이 초당 instruction 처리 수를 따지며 이걸 Instruction Per Second (IPS)라고 한다. 한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데 하나의 분기가 소요된다고 해서 보통은 clock이라는 개념으로도 쓴다. 말에서 나온 것처럼 1초에 몇번의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반대로 아주 간단한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면 정확한 시간 측정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건 프로세서의 입장에서 본 시간의 개념이고... 지난번 포스트에서 다룬 외부 장치를 통제하는 PIC의 IRQ 0번에는 이런 시간에 관한 설정을 다루는 부분이 달려있는데 이걸 Programmable Interva..

Study/OS 2013. 1. 25. 17:21
[Site] osdev.org

http://wiki.osdev.org/Main_Page 기본적인 커널 생성 및 전반적인 OS 개발에 관한 이야기와 튜토리얼들이 담겨있다

Study/OS 2013. 1. 25. 16:34
[Site] Computer Lab in Cambridge Univ

http://www.cl.cam.ac.uk/freshers/raspberrypi/tutorials/quick-start/ 라즈베리 파이로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튜토리얼 제공 - 운영체제 / 튜링 머신 / 분산 처리 시스템 등.

RPi 2013. 1. 25. 16:26
[OS] Mint64OS 15절 Console Shell 생성

이제 Queue도 구현되었기 때문에 이걸 통해서 간단한 콘솔 쉘을 만드는 것이 15절의 목적이다. 일단 기본적인 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정 키의 입력에 대한 반응(예를 들어 엔터를 치면 줄 바꿈이 된다던가 탭키를 눌렀을 때 간격이 늘어나는 등의 기능)을 줄 수 있어야 하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원에 대한 접근이 명령어를 통해서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일단 명령어를 수행하다 보면 변수의 갯수가 중요한 요소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가변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va_list 같은 가변 변수의 사용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5개의 명령어를 제공하고 각각의 기능을 한번씩 써봤다, - 잘못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즉 입력값이 ShellCommandEntry에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와 같은 반응을..

Study/OS 2013. 1. 25. 13:45
[OS] Mint64OS 14절 Queue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

전전 포스트에서도 이야기 했다시피 키보드 입력을 받을 때 인터럽트 방식을 적용하면 일일이 프로세서가 감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효율성 측면에서 더 좋다고 했었다. 지난 포스트에서 다룬 인터럽트 핸들러를 이제 키보드 입력에 집어넣는 부분이다. 사실 인터럽트 방식에서도 생길 수 있는 문제 중 하나는 키보드 입력이 "언제" 들어왔는지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매번 말했다시피 키보드 입력이 들어올 때만 인터럽트가 걸리기 때문에 전체적인 테스크 상에서 입력이 들어온 시점은 인터럽트 발생 시점과 동일하고, 따라서 주기도 불규칙하다. 이와중에 입력받은 스캔코드 값을 알아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 책에서 언급하는 방법은 바로 버퍼를 활용해서 값을 전달받는 방식이다. 키보드 핸들러를 통해서 키가 입..

Study/OS 2013. 1. 24. 16:31
[OS] Mint64OS 13절 Interrupt Service Routine 생성

지난 포스트에서 말한 인터럽트를 사용자가 정의할 수도 있지만 이걸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바로 Programmable Interrupt Controller(PIC)이고, 여기서 나오는 출력에는 IRQ 몇번이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보통 컴퓨터가 고장났을 때 오류정보속에 포함되어있는 IRQ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보면 어느 부분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일이 컴퓨터를 분해해보는게 아닌 것이다. 인터럽트나 예외를 처리하고 난 후에는 이전에 수행하던 상태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애초에 인터럽트에 진입할 때부터 그 때의 상태를 저장해야 하는데 이걸 context라고 한다. 그래서 초기 인터럽트 발생시에는 context를 저장하고 핸들러를 수행 후에 다시 context를 load 하는 일..

Study/OS 2013. 1. 24. 13:58
이전 1 ··· 67 68 69 70 71 72 73 ··· 110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2015년은 조금더 열심히 해보려고 합니다.
  • [2014.04.10] 드리는 말씀
  • [Notice] 블로그에 오신 분들께 드리는 ⋯
  • [Public] Profile - update⋯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chans_jupyter
TAG
  • PowerPoint
  • bias
  • 파이썬
  • Variance
  • Offline RL
  • Windows Phone 7
  • reward
  • Expression Blend 4
  • Gan
  • 강화학습
  • Kinect for windows
  • Distribution
  • arduino
  • Pipeline
  • dynamic programming
  • Kinect
  • Policy Gradient
  • windows 8
  • TensorFlow Lite
  • ColorStream
  • 한빛미디어
  • Kinect SDK
  • 인공지능
  • SketchFlow
  • Off-policy
  • 딥러닝
  • processing
  • End-To-End
  • DepthStream
  • RL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