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3/19 - [About WP7] - [WP7 개발 기초] ScrollViewer 오랜만에 WP7 관련 포스팅을 합니다. 물론 잡지에 기고하는 것으로 간단한 WP7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지만, 다시 공부해볼 필요성을 느끼고 조금씩 나아가렵니다. 지난 포스트에서는 단순히 xaml코드상에 자신이 원하는 문구를 삽입해서 scrollViewer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시연했습니다. 이번에는 xaml은 쓰지 않고 cs상에서 문구를 받아와서 표현하는 것을 구현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평상시에 하던 것처럼 윈도우폰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이름은 PublicClasses입니다. 물론 단순한 폰 화면이 디자인뷰를 나타나겠지만 이번에는 xaml상에서 개체를 삽입할 것이 아니라 외부의 어셈블리..
이번 시간에 다뤄볼 내용은 작년 9월에 있었던 Build Windows Conference에서 언급된 내용입니다. 이때 MS ATG부서의 PM Chales Cox 씨가 나와서 자신이 아주 단기간에 게임을 만들어보겠다고 합니다. 아마 그때 사람들은 이말을 믿었을까요? 그런데 그게 현실로 나타났네요. 원본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고, 자료는 없습니다. 뭐든 자신이 직접 만들고 결과를 보는게 낫겠지요. 그전에 윈도폰에서 게임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언급이 필요한 것 같네요. 윈도우폰에서의 게임이란 어떻게 보면 잘 차려진 밥상위의 먹음직스런 반찬일 수 있습니다. MS는 이미 Xbox라는 플렛폼을 통해서 콘솔게임에 대한 노하우가 갖춰진 상태였고, 여기에 윈도우폰 게임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Cross Plat..
앱을 만들다보면 넣고자 하는 내용이 화면의 크기를 넘어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개념이 바로 이번 시간에 소개할 ScrollViewer입니다. 이것도 역시 이전에 다뤘던 StackPanel처럼 정해진 공간을 독립적으로 차지하게 됩니다. 사실 윈도우폰에는 스크롤바라는 개념이 있기는 하지만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냥 화면을 누른 상태로 위나 아래를 드래그한다면 그 자체가 스크롤바가 되는 겁니다. 역시 만들어보면서 실험해보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제목 부근이 색다르게 바뀌겠지요? 이제 저희의 이야기를 풀어나가고자 합니다. 그전에 어떤 폰트를 쓸지는 이전에 배운 Style 개념을 사용하면 좋겠지요. 안그러면 일일이 폰트를 삽입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지정해준 style을 ScrollVi..
지난 포스팅에서 Grid와 StackPanel에 대한 걸 잠깐 다뤄봤었는데 이번에는 그 중 StackPanel에 대한 내용을 조금 여러가지 실험을 통해서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이 StackPanel에도 Orientation이 있습니다. 보통은 폰 전체의 Orientation을 언급하기도 하지만 stackPanel에서는 폰 전체에서와 다르게 방향과는 전혀 무관하고 내부 컨텐츠의 방향을 결정해줍니다. 물론 이 속성에는 Horizontal과 Vertical이 있겠구요. 그래서 예제로 든 내용이 바로 화면을 건드릴때마다 컨텐츠의 방향이 바뀌는 내용입니다. 우선 StackPanel을 선택한 상태에서 Properties 창의 Event 항목을 보면 중간에 ManipulationStarted가 있습니다. 이 항목을 ..
이번 시간부터는 폰의 레이아웃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첫번째로 말할 개념은 Grid라는 겁니다. MainPage.xaml을 보면 가장 상위에 있는 개념이 바로 Grid라는 건데 이건 그냥 하나의 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금 디자인뷰상에서 선택된 화면이 바로 LayoutRoot라는 이름의 grid입니다. 지금 이 grid 안에 StackPanel이 들어 있고 contentPanel이란 이름의 Grid가 하나더 삽입이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Grid안에 여러개의 개체를 넣을 수 있습니다. 한번 이 grid를 삭제하고 ContentPanel로만 이뤄진 Grid를 생성해봅니다. 지금과 같이 쓴것이 바로 Grid가 생성된 겁니다. 디자인뷰와 병행해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렇게 설정만 해줬을 뿐인데 화..
지난 포스팅에서는 Border라는 개념을 알아봤습니다. 그러면 어떤 걸 가지고 TextBlock을 꾸밀 수 있는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겠네요. Properties를 유심히 보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Font를 수정할 수 있는 속성은 총 5개가 있습니다. - FontFamily : 글자체 - FontSize : 글자의 크기 - FontStretch : 글자의 수축 확장 표시 - FontStyle : 글자의 비스듬함 설정 - FontWeight : 글자의 볼딕 처리 설정 이중에서 몇가지는 값이 고정되어 있는 것도 있고, 수정해도 값이 변하지 않는 수치들이 있습니다. 이를 직접 해보고자 합니다. 저는 이렇게 글을 써봤습니다. 하지만 결과물은 분명히 짤릴겁니다. 가로에서 표현할 수 있는 글자 수는 제한되어 있으..
오랜만에 다시 윈폰 개발에 뛰어들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TextBlock의 테두리를 설정할 수 있는 border란 요소에 대해서 언급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예시부터 보겠습니다. 지금 보고 계신건 그냥 단순하게 Content Panel 상에 TextBlock하나만을 삽입한 겁니다. 여기서 어떤 효과를 줄 수 있을까요? 뭐 글자체를 변경시킬 수도 있는 것이고, 아니면 지난 포스팅에서 했던 내용처럼 글씨 자체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줄 수도 있는 겁니다. 그러면 테두리를 어떻게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것에 대한 내용이 바로 border 속성인 겁니다. 다음과 같이 짜봅니다. Border속성은 이렇게 줄 수 있습니다. 그 내에 들어가는 요소를 child처리를 해줘서 항상 들어가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책에..
TextBlock과 Image에 대한 정보를 봤으니 이번에는 도형을 만드는 법과 그 도형을 변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기본 프로젝트에 포함된 Reference중에는 System.Windows.Shapes라는 네임스페이스가 이런 도형을 생성할 수 있게끔 도와줍니다. 그 클래스중에는 Ellipse와 Rectangle 등이 있지요. 우선 ContentPanel안에 다음과 같이 삽입해봅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큰 타원형이 생깁니다. 그럼 Ellipse안에 HorizontalAlignment와 VerticalAlignment를 설정하는 걸 집어넣어봅시다. 사라지는군요. 그런데 지금 디자인뷰에서도 아주 조그맣게 보이다시피 이 타원이 수축된겁니다. 왜냐하면 이 Ellipse라는 것 자체가 최소크기라는..
두번째는 파일에 있는 PathListBoxMenu.sln을 불러오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뜨게 됩니다. 이제 해야 하는건 화면에 나와있는 아이콘들을 어떤 모양으로 설정해서 그 모양대로 보이게 하는것이지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요. 자 일단 배열하고자 하는 모양을 폰상에 올려 놓습니다. 일단 캠프의 예시대로 원형을 해보겠습니다. 뭐 단순히 Eclipse만 집어넣으면 뒤에 있는 이미지가 보이지 않으므로 적절하게 Transparent를 줘서 우측과 같이 표현해 줍니다. 자 이제 가장 핵심인 PathListBox를 삽입해야 합니다. 물론 이 항목은 Assets에서 검색을 통하면 가장 쉽게 찾습니다. 이걸 이제 Object속에 삽입을 해줘야 합니다. 그런데 현재 제가 사용하는 프로젝트에는 TitlePanel,..
2011년 10월 15일 토요일, 한국 MS에서 10월 WP7 앱캠프를 실시하였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Expression Blend 4 를 이용한 다양한 효과 구현이었습니다. 우선 Expression Blend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자면 WP7 앱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디자이너의 개발쪽 역량을 확충하기 위해서 컴퓨터에 대한 코드를 전혀 몰라도 앱을 만들 수 있도록 한 디자인 툴입니다. 이번 글은 캠프에서 다뤘던 내용에 대해 다시 되돌아보는 차원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압축을 풀어보면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나옵니다. 첫번째 파일은 암호 입력에 condition을 줘서 암호를 맞췄을 때와 암호를 틀렸을 때의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는 예제였고 두번째는 아이콘을 특정 모양 형태로 정렬하고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는 실습..
- Total
- Today
- Yesterday
- Variance
- arduino
- bias
- Offline RL
- Kinect
- PowerPoint
- Kinect for windows
- Off-policy
- 파이썬
- reward
- SketchFlow
- Windows Phone 7
- Pipeline
- ColorStream
- Policy Gradient
- End-To-End
- dynamic programming
- processing
- 딥러닝
- 강화학습
- 한빛미디어
- Expression Blend 4
- RL
- TensorFlow Lite
- Gan
- ai
- Kinect SDK
- windows 8
- DepthStream
- Distributi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